-
Reading Skill(1) 우리 아이 영어 독해 문제점 뭘까요?영어교사 Teacher Education 2021. 8. 5. 10:20
고삼 자녀둔 친한 벗에게 연락이 왔습니다.
"우리 애가, 빠르게 독해하고, 독해력을 기르는 방법을 알고 싶다는데, 어떻게 해야해? 단어 뜻은 아는데 무슨 말인지 모르겠데"
저의 답은
" 1. 단어의 뜻을 본인은 안다고 생각하지만 사실 충분히 모르는 경우. 같은 스펠링 단어라도 동사일때 명사일때 상황에 따라 다른 뜻일수 있거든. 예를 들어 Sleep in 둘다 참 쉬운 단어인데 이게 같이 쓰이면, 원래 자야 하는 것보다 좀 더 자서 뭐에 늦은 것을 의미해. 이런 쉬운 단어들이 조합되어 있는 경우, 그게 뭔지 잘 모르면 문장이 이해가 어렵겠지.
2. 글의 핵심 주제문(thesis statement) 을 파악하는 방법을 모르는 경우.
3. 글의 구조 (이게 비교하는 것인지, 예시를 많이 주는 것인지 등등) 파악하지 않고 어려운 지엽적 단어들에 집착하는 경우.
4. 배경지식이 너무 부족해서.
**이가 사용하는 문제집 사진 찍어 보내봐. ..(중략) .일단 첫문제 보니, 첫문장이 바로 thesis statement이네. 그럼 나머지 읽을 필요도 없이 답은 xx인게 보여.
그리고 모르는 단어 마크해 놓은 것 보니까, 지금 어휘력은 미국 초등학교 1-3학년 수준인데, 미국 중고등학생, 심지어 대학생이 읽을 레벨을 글이 주어지니 진짜 힘들꺼야. 외국어 공부가 효과 있을려면 comprehensible input(이해 가능한 내용)으로 다뤄야 하는데, 한국 입시가 그런 환경을 주지 않으니.
그리고 **의 최대의 적은 "두려움" 같아 두려움은 학습에 있어서 최대의 걸림돌. 영어는 **이가 이루고 싶은 꿈을 위한 수 많은 도구들 중에 아주 작은 도구일 뿐이고. 영어에는 또 아주 쓸데없는 무게감이 있어. 이걸 오지의 이름 모를 부족의 언어이고, 나는 그 언어를 공부하는 여유 많은 고고학자라고 생각하면서 ^^ 접근할 필요도 있지. "'영어교사 Teacher Educati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수능 영어 독해 노트필기법 (0) 2021.08.08 독해 능력 기르는 도구 Thinking Map (0) 2021.08.05 온라인 티칭 도구 1) Wordwall 활용 (0) 2021.06.29 BICA 고전주의 교육-World History Book 3 (Spring 2021) (0) 2021.05.02 Acronym로 편하게 외우기 (기억법 #3) (0) 2021.04.30